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서 뜻, 소서 인사말

by 나눔이좋아 2025. 7. 9.

    [ 목차 ]

2025년 7월 7일은 24절기 중 11번째 절기인 소서(小暑)입니다.

 

하지와 대서 사이에 위치해 ‘작은 더위’라 부르며, 본격적인 여름 더위의 시작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온이 상승하고 장마전선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며, 습도도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서의 유래와 농사 풍습, 계절 음식, 인사말까지 정확하고 다채롭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소서 뜻과 해설


‘소서(小暑)’는 한자 그대로 “작은 더위”를 의미하며, 절기상으로는 하지와 대서 사이(매년 7월 7~8일)에 해당합니다.

 

하지 이후 햇빛 강도는 계속 증가하지만, 아직 최고점(대서)에는 이르지 않은 상태이기에 자연스럽게 “작은 더위”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기상적으로는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 자리 잡으며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됩니다. 소서 무렵 논농사는 모내기 이후 약 20일이 지나 논김을 매는 시기이며, 퇴비 준비나 논두렁 잡초 제거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또한 팥·콩·조와 같은 곡식의 파종, 밀과 보리의 수확도 이 시기에 활발히 진행됩니다.

 

소서 인사말과 한마디 예시


✔ 기본 인사말 (누구에게나 무난하게)
“작은 더위 소서입니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건강하고 시원하게 여름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소서 절기입니다. 점점 더워지는 날씨 속에서도 시원한 바람처럼 편안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장마와 무더위가 함께 시작되는 소서입니다. 마음만은 가볍고 청량하시길 바랍니다.”

 

✔ 건강을 기원하는 인사말
“소서 무렵 건강이 무너지기 쉬운 때입니다. 수분 보충 잘하시고, 무리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더위가 시작되는 소서입니다. 여름철 건강식 챙기시고 충분한 휴식으로 기력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요즘 날씨가 들쭉날쭉하죠. 소서 즈음엔 특히 장마철 감기 조심하세요.”

 

 

✔ 정겨운 일상형 인사
“소서네요. 민어 한 그릇에 시원한 여름 국수 한 그릇이 절로 생각나는 날씨입니다. 맛있는 거 많이 드시고 기운 내세요.”

“소서에 접어들며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됐네요. 마음만은 한결 시원하고 가볍게 보내시길 바라요.”

“작은 더위가 시작되는 소서입니다. 땀 흘린 만큼 기쁨도 커지는 한 주 보내세요.”

 

✔ 업무 및 관계 인사 (회사/비즈니스용 등)
“소서입니다. 무더운 여름에도 늘 건승하시고, 하시는 일마다 시원한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더운 날씨 속에서도 늘 최선을 다하시는 모습에 감사드립니다. 소서 맞이하여 건강과 평안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작은 더위 소서가 왔습니다. 이번 여름도 무사히, 건강히 보내시길 바라며 성취 가득한 나날 되세요.”

 

✔ 지인/친구/연인에게 전하는 따뜻한 한마디
“소서야, 본격적인 여름 시작이래. 우리 같이 얼음 동동 띄운 차 한잔 어때?”

“요즘 너무 더워지지? 소서니까 더위 시작이라는데, 냉장고에 수박 하나 미리 준비해둬야겠어.”

“이번 소서는 너 생각 많이 나네. 네가 좋아하는 민어국 먹으면서 힘내는 여름 보내길!”

 

 

소서의 농사 풍습과 제철 음식


농사 풍습
전통적으로 소서는 농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모내기 후 약 20일간 경작된 논에서는 논김 맸을 때 피어나는 잡초를 제거하고, 논두렁 정비 및 퇴비를 공급하는 시기입니다. 이는 이후 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제철 음식
이때 먹기 좋은 제철 음식으로는 밀가루 음식, 애호박, 민어 요리가 손꼽힙니다.

밀가루 음식: 단오를 전후한 시기에 수확된 밀로 만든 국수, 전병 등은 소서 무렵에 가장 제철입니다.

애호박: 순하고 달며, 다양한 음식에 사용되어 여름 특히 인기 있는 채소입니다.

민어 요리: 소서 무렵이 되면 기름이 오른 민어는 가장 맛있고, 특히 ‘민어 고추장국’에는 단맛과 매운맛이 조화를 이루어 입맛을 돋구는 여름 대표 음식입니다.

 

 

소서에 어울리는 마음 챙김


소서(小暑)는 이름처럼 ‘작은 더위’이지만, 사실상 한 해 여름의 리듬이 본격적으로 고조되기 시작하는 전환점입니다.

 

농사에서는 모내기와 퇴비 작업이 마무리되고, 밭작물은 뿌리를 내린 뒤 본격적으로 잎과 줄기를 키워 가을 수확을 준비합니다. 우리 몸과 마음도 마찬가지로, 장마철 습기와 더위에 적응하며 새 계절의 호흡을 맞추어야 할 시기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주변 사람들에게 “건강 잘 챙기세요” “수분 충분히 드세요” 같은 짧은 안부 한마디가 예상보다 큰 위로와 활력이 됩니다. 여기에 소서와 어울리는 제철 음식 이야기를 곁들이면 정성이 배가됩니다.

 

예를 들어, “소서라 그런지 민어가 제철이라네요. 기름 오른 민어 회나 고추장국 한 그릇 해서 여름 기운 내보세요.”

“애호박이 한창 달고 부드러울 때예요. 호박국 끓여서 입맛 돋우시길 바랍니다.”

같은 구체적인 권유는 상대의 생활에도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

 

또 한 가지, 소서 즈음에는 날씨가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생활 루틴을 미리 점검해 두면 좋습니다.

 

실내 온·습도 유지,

자외선 차단과 충분한 수분 섭취,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아침·저녁 산책으로 체온 관리.

 

이처럼 작은 준비도 “소서를 맞아 몸과 마음을 돌본다”는 의미를 담아 인사말과 함께 전하면, 자연스레 배려와 관심이 깃든 소통이 됩니다.

 

올해 소서가 시작되는 7월 7일, 사랑하는 가족·친구·동료에게 “장마철 건강 유의하시고, 더위도 미리미리 조심하세요” 하고 전해 보십시오.


이 짧은 말 한마디가 한여름의 열기 속에서도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을 잇는 따뜻한 연결 고리가 되어 줄 것입니다.

작은 절기를 알고 따르는 마음챙김이 곧 크고 깊은 여름의 행복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