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무더위가 시작될 무렵이면 누구나 기다리게 되는 특별한 시기가 있습니다.
바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삼복’ 기간입니다. 삼복은 음력에 따라 그 해의 더위가 가장 극심한 시기를 의미하며, 우리 조상들은 이때 몸의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다양한 보양 음식을 먹으며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는 지혜를 실천해 왔습니다.
2025년의 초복, 중복 날짜와 함께, 전통 복날 음식의 의미, 종류, 그리고 삼복더위에 대처하는 현대인들의 식문화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초복과 중복 날짜 2025
2025년 올해 복날은 초복이 7월20일(일요일), 중복이 7월30일(수요일), 말복이 8월9일(토요일)로 각각 정해져 있습니다.
삼복은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초복, 1년 중 가장 덥고 지치기 쉬운 정점인 중복, 그리고 무더위가 조금씩 누그러지기 시작하는 말복까지 약 20일간 이어집니다.
해마다 음력으로 계산되는 복날은 양력 기준으로 날짜가 달라지므로 여름철 건강 관리를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복의 유래와 전통
삼복은 한 해 중 기운이 가장 약해지고 덥다고 하는 절기에 해당합니다. 옛날에는 ‘복(伏)’이라는 한자가 사람이 더위에 지쳐있는 모습을 뜻한다 하여 사용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체력 소모가 많은 농번기와도 겹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복날에는 보양식 등을 챙겨 먹으며 기력을 회복했습니다.
초복은 여름 더위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미리 몸을 보하는 준비를 하는 날입니다. 중복은 연중 가장 더운 시기로 삼복더위의 정점에 해당하며, 말복은 더위가 서서히 끝나가는 무렵 체력 회복을 다지는 날로 여겨집니다.
복날 음식과 의미
복날 음식의 핵심은 ‘이열치열’입니다. 즉, 더운 날씨에는 뜨거운 음식을 먹어 땀을 내고 원기를 보충해야 한다는 우리 선조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지혜입니다.
삼복 기간에는 각 가정과 식당에서 다양한 종류의 보양식이 준비되며, 아래는 대표적인 복날 음식과 그 의미입니다.
삼계탕
삼계탕은 닭에 인삼, 대추, 찹쌀, 마늘 등을 넣고 오랜 시간 푹 끓인 대표적인 보양식입니다. 닭고기의 단백질과 각종 재료에서 우러나온 영양 성분이 더위를 견디고 체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어 복날 음식으로 사랑받아 왔습니다.
백숙
백숙은 간단하게 닭을 삶아낸 요리로, 한방 재료를 추가하지 않아도 담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부담 없이 원기 보충이 필요한 이들에게 적합한 음식으로 여겨집니다.
장어구이
장어는 예로부터 원기회복의 대표주자입니다. 단백질, 비타민A가 풍부해 여름철 지친 몸에 스태미나를 부여한다고 전해집니다. 구이, 탕, 덮밥, 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어 최근 복날 음식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추어탕
미꾸라지를 갈아 넣고 푹 끓인 추어탕 역시 복날 자주 찾는 메뉴입니다. 미꾸라지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해 면역력 강화와 원기 보충에 효과적입니다.
전복
‘바다의 산삼’으로 불리는 전복도 복날 대표 보양식 중 하나입니다. 비타민, 미네랄, 타우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해 여름철 원기 보충에 제격입니다.
민어탕
요즘 여름철 제철 생선으로 민어탕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무기질·단백질이 풍부하고 소화가 쉬워 복날 특별 식단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오리고기
오리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혈관 건강에 좋고, 기초 체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복날 식탁에도 오릅니다.
초복과 중복에 어울리는 이색 복날 음식
최근에는 복날 전통음식 외에도 다양한 보양식과 이색 메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냉국수, 초계국수, 콩국수 등 더위를 식혀줄 시원한 면 요리
한우 샤브샤브, 돼지양념구이 등 고단백식
채소와 해산물이 풍부히 들어간 해신탕, 낙지연포탕
차가운 음식과 뜨거운 음식, 육류와 해산물, 국물 요리와 구이 요리 등 다양한 선택지가 생기면서 각자의 입맛과 건강 상태에 따라 식단을 구성하는 모습도 보편화됐습니다.
복날 음식이 주는 건강 효과
복날 음식을 챙겨 먹는 것은 단순히 전통을 잇는 행위에 그치지 않습니다. 여름철에는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무기질·비타민이 쉽게 소모되고, 입맛도 떨어지기 쉽습니다. 복날의 보양식은 이런 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 및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를 효과적으로 보충
뜨거운 국물 음식이 땀 배출을 도와 해독 작용 촉진
웰빙 트렌드에 따라 건강을 생각한 조리법과 식재료 활용 증가
복날에 먹는 음식이 몸과 마음에 활력을 주는 셈입니다.
복날, 한여름을 건강하게 보내는 현대인의 지혜
현대의 복날 문화는 보다 실용적이고 실생활에 맞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온가족이 모여 집에서 큰 냄비에 삼계탕을 끓여 먹었지만, 요즘은 전문 식당에서 복날 특별 보양식 메뉴를 즐기거나 배달, 포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양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체 급식, 사내 이벤트 등으로 복날의 의미를 공유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복날에 꼭 전통 보양식만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본인의 입맛과 건강 상태, 식습관에 맞는 음식을 선택해 균형 잡힌 여름 건강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025년 초복과 중복, 그리고 다가올 말복까지 삼복의 더위를 슬기롭게 이겨내는 방법은 바로 ‘몸과 마음의 건강’을 챙기는 데 있습니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복날 음식은 건강한 여름나기의 상징이자, 가족과 이웃이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의 시작점입니다. 계절의 흐름마다 알맞은 음식을 먹으며 건강을 돌보는 조상들의 지혜를 오늘 우리도 실천한다면, 더위 속에도 활력을 되찾고 새로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25년 복날을 맞아, 각자의 방식으로 보양식 한 끼를 챙기며, 자신과 가족 건강을 지키는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건강하고 활기찬 나날이 이어지길 기원합니다.